
3색과(三色果)의 의미(意味
3색과(三色果)의 의미(意味) | |
어떤 경우에라도 대추와 밤과 감 -감이 없는 계절에는 곶감- 이렇게 세 가지는 반드시 쓴다, 만약 이 3과(三果)중 하나라도 빠뜨리고 제사를 지냈다면 그 제사는 무효라며 다시 지내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도 할 만큼 이 과일은 절대 빼놓지 않는다, 그럼 왜 그토록 이 세 가지 과일을 중요시 할까? 그것은 3과(三果)에 담겨있는 의미 때문이다, 대추(棗), 밤(栗), 감(柿)의 숨은 의미(意味)를 알아보자. | |
대추(棗) |
대추의 특징은 한그루의 나무의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이 닥지닥지 많이도 열린다는 것이 되겠지만,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대추 꽃의 생리(生理)때문일 것이다, 대추 꽃은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를 맺고서야 떨어진다는 것이다, 아무리 비바람이 치고 폭풍이 불어도 그냥 꽃으로 피었다가 꽃으로만 지는 법이 없다, 꽃 하나가 반드시 열매 하나를 맺고서야 떨어진다. 이를 사람과 비유(比喩)하면 어떤 의미(意味)가 되겠는가?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가야 한다, -그것도 많이 낳고서 가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, 그래서 제사상(祭祀床)에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이며 자손(子孫)의 번창(繁昌)을 상징(象徵)하고 기원(祈願)하는 의미(意味)가 있는 것이다. 한집안의 후손(後孫)이 끊어지면 그 집안이 망한다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다, 국가나 민족의 역사도 마찬가지다. 혼례(婚禮)를 올린 신부(新婦)가 시부모(媤父母)에게 폐백(幣帛)을 드릴 때, 시부모(媤父母)가 대추를 한 움큼 새며느리의 치마폭에 던져 주는 것도 이 같은 상징성 때문이다, 아들 딸 구별 말고’ 대추 열듯이 자손(子孫)을 많이 낳아 번성케 하라는 것이다. |
| |
밤(栗) |
밤이 땅속에 들어가면 뿌리를 내리고 싹이 나서 줄기와 가지와 잎이 되어 성숙한 나무를 이룬다, 여기까지는 여느 식물과 다를 바가 없다. 그런데 보통의 식물은 씨앗에서 싹이 나면 그 씨앗의 영양 분의로 싹을 키우고 사라져 버리지만, 밤만은 땅속에 들어갔던 최초의 씨밤이 그 위의 나무가 아름드리가 되어도 절대로 썩지 않고 남아 있다고 한다, 얼마나 오랜 세월이 흘렀건 간에 애초의 씨밤은 그 나무 밑에 생밤인 채로 오래오래 그냥 달려 있다는 것이다, 이런 밤(栗)의 생리(生理) 때문에 밤(栗)은 나와 조상(祖上)의 영원(永遠)한 연결을 상징하는 것이다, 자손(子孫)이 몇 십, 몇 백대를 헤아리며 내려가더라도 조상(祖上)은 언제나 나와 영적(靈的)으로 연결된 채로 함께 한다는 것 이다, 지금도 조상(祖上)을 모시는 위패(位牌), 신주(神主)는 반드시 밤(栗)나무로 만든다, 밤(栗)나무가 특별히 좋은 향이나 작업(作業)이 용이한 것도 아닌데 반드시 그렇게 하는 이유는 바로 밤(栗)나무의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, |
| |
감(柿) |
감(柿)이 지닌 생리(生理)는 여타(餘他) 다른 식물(植物)들과는 다르다, 속담에 이르기를 “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”고 한다, 하지만 감(柿)심은 데서는 절대로 감이 나지 않는다, 아무리 탐스런 감에서 나온 감(柿)씨를 심어도 싹은 감(柿)나무가 아니라 고욤나무다, 감(柿)씨를 그냥 심기만 해서는 그 나무에 고욤이 열리지 감이 열리지는 않는 것이다, 고욤은 생김새는 감을 닮았지만 크기는 도토리만하고 떫어서 다람쥐 같은 들짐승들이나 먹지 사람은 먹지 못한다. 감나무를 만드는 방법은 이렇다. 감(柿)씨를 심으면 고욤나무가 된다, 그래서 3~5년쯤이 되었을 때 그 줄기를 대각선으로 째고 감나무 가지를 거기에 접을 붙이는 것이다, 이것이 완전히 접합이 되면 그 다음부터 감이 열리기 시작한다. 만약 장난으로 줄기가 아니라 가지에 접을 붙이면, 한 나무인데도 이쪽 가지에선 감이 열리고, 다른 가지에서는 고욤이 열리는 기묘한 일도 벌어진다, 감은 이렇게 묘한 과일이다. 이 감나무가 상징하는 바는 이렇다. 즉,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침을 받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것이다. |
|
그래서 율곡 선생이 쓰신《격명요결(擊蒙要訣)》의 첫줄도 “인생사세(人生斯世)에 비학문(非問)이면 무이위인(無以爲人)이니라.”하는 말로 시작하고 있다.
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에는 생재기를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, 그 아픔을 겪으며 선인(先人)의 예지(叡智)를 이어받을 때 비로소 진정한 하나의 인격체로 설 수 있다는 것이다, 이렇듯 우리 조상(祖上)들은 제물(祭物) 하나를 차리는 데에도 자손(子孫)에 대한 가르침을 염두에 두었다, 그런데 우리가 그 가르침을 망각(忘却)한 채로 제상(祭床)에 이들을 올린다면 마치 돌을 올리는 것과 다를 바가 무엇이겠는가?
제물(祭物)하나에도 그 의미(意味)와 뜻을 헤아리고 정성(精誠)과 예(禮)로서 제사(祭祀)에 임하여야 할 것이다,




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조회 | 날짜 |
---|---|---|---|---|
3 | 사당(祠堂)이란 ? | 松庵 | 11804 | 2011.12.11 01:15 |
>> |
3색과(三色果)의 의미(意味
![]() |
松庵 | 9509 | 2011.12.10 22:47 |
1 | 벽려신지(薜荔新志) 라는 책에 옛날 호칭이 있어 올려봅니다 | 松庵 | 9148 | 2011.12.02 23:08 |